본문 바로가기
빅데이터전문가양성과정

파이썬 기초 (1일차)

by HoneyIT 2020. 10. 5.

변수 소개

 

- 변수는 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자료(값)을 저장하는 공간(메모리)이다.

- 변수에 저장된 값은 언제든지 다른 값으로 바뀔 수 있다.

- 할당문(대입문)을 사용하여 변수에 값을 저장한다.

 

변수 이름 짓기

 

- 의미 있는 이름으로 짓는다.

- 소문자와 대문자를 구별한다.

- 변수 이름은 영문자와 숫자, 밑줄(_)로 이루어진다. (첫 글자가 숫자가 될 수 없다.)

- 변수의 이름에 공백이나 특수문자가 들어가면 안된다.

 

낙타식 표기법 (Camel Case) : myNewCar, userList, ...

파스칼식 표기법(Pascal Case) : MyNewCar, UserList, ...

케밥식 표기법(Kebab Case) : my-new-car, user-list, ...

 

수식(Expression)과 연산자(Operator)

수식 = 피연산자(operand)와 연산자(operator)의 조합

 

width, height = 30, 40 # 동시 할당문
print(width+height) # 덧셈
print(width-height) # 뺄셈
print(width*height) # 곱셈
print(width/height) # 실수 나눗셈
print(width//height) # 정수 나눗셈
print(width**height) # 거듭제곱
print(width%height) # 나머지

 

자료형

type() 함수를 이용하여 자료형을 알 수 있다.

 

number, name = 10, '김재헌'
print(type(number), type(name))

 

 

인덱싱

- 문자열에 []를 붙여서 문자열 중에서 하나의 문자를 추출하는 것을 말한다.

 

word = 'python'
word[0]

 

0번째 인덱스

리스트

- 여러개의 값을 모아서 하나의 변수에 저장할 수 있다.

- []안에 값을 나열하고 값과 값 사이에 콤마(,)를 찍으면 된다.

 

numList = ['사과', '바나나', '우유', '빵', '베이컨']
numList.sort()
print(numList)
numList.reverse()
print(numList)

 

리스트 정렬

sort()와 revers() 함수를 이용하여 리스트 값들을 오름차순, 내림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.

 

특정 위치에 원소 삽입

numList.insert(1, '안먹어!') # 특정 위치에 원소 삽입
numList[2] = '버나나' # 리스트 원소 변경
numList.append('마늘') # 뒤쪽에 원소 추가
numList.pop(0) # 특정 위치의 값을 꺼내어 반환하고 해당 값을 리스트에서 삭제
numList.remove('베이컨') # 특정 원소 삭제

 

 

튜플

- 1차원의 고정된 크기를 가지는 변경 불가능한 순차 자료형

 

ractangle = 100, 200
ractangle[0]=50

위와 같이 튜플를 생성할 수 있지만

 

튜플의 원소값을 변경할 수는 없다.

 

 

튜플에서 값 분리

profile = '김재헌', 25, 181, 68
name, age, tall, weight = profile
print('이름:', name, ', ', '나이:', age, ', ', '키:', tall, ', ', '몸무게:', weight)

 

다음과 같이 기존의 튜플 값을 분리할 수 있다.

 

 

두 변수의 값 교환

a, b = 10, 20
a, b = b, a
print(a, b)

 

 

 

'빅데이터전문가양성과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데이터 분석 (7일차)  (1) 2020.10.26
데이터 분석 (6일차)  (0) 2020.10.22
데이터 선택 & 슬라이싱 (6일차)  (0) 2020.10.22
데이터 분석 (5일차)  (0) 2020.10.19
Colaboratory 환경설정(1일차)  (2) 2020.10.05